헤더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업현황

개인 지원
0
총사업비
0
단체 지원
0
사업명
사업비(단위 : 원)
프로그램지원사업
장애인의 사회참여와 기회 균등을 위한 공익사업을 지원합니다.

사업비 720,575,133

개인822

단체27

사업명 세부 내용 개인 단체 구분
발달장애인들의 의사소통 및 마음 돌봄 프로그램 건강 발달장애인이 아로마테라피와 원예테라피에 참여하여 스트레스 해소와 심리적 안정감, 심리 치유 회복의 기회를 마련합니다. 개인25 단체1 건강
장애인 가정 거주환경개선 사업 건강 미세먼지 방충망 교체, 침대 매트리스 클리닝, 방역 및 소방물품 지급 및 모니터링을 통한 장애인 거주환경을 개선합니다. 개인108 단체1
원예치료프로그램 건강 원예치료를 통해 스트레스를 감소하고, 나아가 원예복지사자격증을 취득하여 스마트스토어 등을 통한 직업 다양성을 확대합니다. 개인6 단체1
시각중복장애청년 자립준비교육 프로젝트 교육 다양한 일상생활 교육 프로그램과 자립 단기 체험으로 시각중복장애청년의 독립을 위한 자립능력을 향상합니다. 개인8 단체1 교육
중증장애인의 케어매뉴얼 탬플릿 제작 및 부모교육 교육 장애인 케어메뉴얼 템플릿 개발 제작과 부모교육을 통해 중증장애인 돌봄을 효율적으로 공유하여 돌봄과 지원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개인232 단체1
발달장애인 극단 성인지 교육 인형극 교육 발달장애인 단원의 경험적 사실을 성교육 전문 강사가 각색한 에피소드로 구성하여, 인형극을 관람하는 발달장애인의 자기옹호 역량 및 성적 자기결정권을 강화합니다.
* 국립 경진학교 외 5개 기관에서 인형극 공연 진행
* 인형극 관람 인원 총 752명
개인5 단체1
발달장애인 동료상담 리더 양성 프로젝트 교육 발달장애인 교육 교구 및 매뉴얼 개발을 통한 발달장애인 동료상담가를 양성 합니다. 개인92 단체1
농인 집단동료상담 역량 강화 교육 교육 동료상담교육으로 장애 당사자 간의 공감 형성 및 사회적 유대관계를 증진시켜 청각장애인의 사회활동 기회를 마련합니다. 개인14 단체1
농인(청각장애인)네일전문가 양성교육 교육 네일 컬러링 자격증 과정 및 실습교육과 세미나를 통해 농인 네일리스트를 양성하고 직업개발 능력을 강화합니다. 개인42 단체1
여성장애인 역량강화 아카데미 교육 메이크업 기술을 교육하여 여성장애인의 외적, 내적 자존감을 향상시키고 취업, 창업기반을 마련하여 삶의 질을 향상합니다. 개인15 단체1
체험을 통한 농어촌 장애인 및 거주시설 장애인의 자립생활 도전 교육 재가 장애인 및 거주시설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가정생활기술 교육, 대중교통 및 문화여가활동 체험을 통해 자립능력을 향상합니다. 개인13 단체1
코다의 상호작용 프로그램으로 건강한 사회 교육 청각장애 부모와 비장애자녀 간의 올바른 애착형성을 위한 양육방법 교육과 체험활동을 실시하여 삶의 만족감을 증진합니다. 개인40 단체1
고양시 장애인 전산회계 전산세무 교육 교육 전산세무회계 자격증 교육으로 정보화 촉진 및 직업능력 향상을 통해 장애인의 고용을 확대합니다. 개인13 단체1
메타버스를 활용한 중증장애인 정보격차 해소교육 교육 메타버스를 활용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으로 중증장애인의 정보격차를 해소합니다. 개인10 단체1
중증여성장애인과 중고령여성장애인의 직업개발을 위한 역량강화교육 교육 지역 중고령여성장애인을 대상으로 포크아트, 네일아트 교육을 실시하여 장애인의 고용을 확대합니다.
*총 4명 재취업 성공(포크아트3, 네일아트1명)
개인10 단체1
중고령 청각장애인의 건강한 노후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원사업 교육 조리교육 및 정리수납교육을 통해 중고령 청각장애인의 건강한 노후 삶의 질을 향상합니다. 개인16 단체1
중고령여성장애인을 위한 무장애 공방 인프라사업 교육 캘리그라피, 가죽공예 교육을 실시하여 자격증을 취득하고, 이를 통해 예비창업자를 양성합니다.
*11명 중 10명 자격증 취득
개인11 단체1
시각장애인 음악활동 지원사업 문화 다양한 음악 장르와 악기를 활용한 교육 및 연주 기회를 제공하여 예술활동 경험과 역량을 강화합니다. 개인31 단체1 문화
발달장애인 뮤지컬 역량 강화 교육 문화 뮤지컬 역량 강화 교육을 통해 발달장애인의 예술적 능력을 향상시키고, 자기 표현력과 사회참여 역량을 강화합니다. 개인16 단체1
청년 근육장애인의 인생 컬러링북 채우기 문화 청년 근육장애인이 직접 디자인한 옷으로 패션위크을 개최하여 정서 안정, 사회성 및 자존감을 향상합니다. 개인47 단체1
발달장애 청소년의 문화예술 직업 훈련 프로그램 문화 퍼포먼스 난타 교육을 통해 문화 활동의 영역을 넓히고, 자신감을 증진하고 재능을 발견하여 전문 예술인으로의 성장을 돕습니다. 개인8 단체1
이동 약자를 위한 경사로 설치 사업 사회환경 "경사로 설치를 통해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식당 및 카페, 약국 등 접근성이 확대될 수 있도록 합니다.
*35곳 경사로 설치"
개인3 단체1 사회환경
재난대피소 편의시설 모니터링 및 기후·재난대응교육 콘텐츠 제작 사회환경 재난상황에 장애인이 안전하게 대비할 수 있도록 재난시설을 모니터링하고 매뉴얼 콘텐츠 제공을 통해 이용 접근성이 확대될 수 있도록 합니다.
*가정안전진단 45건, 대피소모니터링 105건, 토론회 참석 50명, 매뉴얼 배포 100곳
개인17 단체1
성폭력 및 유괴 예방 창작극 공연을 통한 장애인 인식 개선 및 일자리 창출프로그램 인식개선 성인 발달장애인으로 구성된 성폭력 및 유괴 예방 창작극 공연을 통해 장애인 인식개선 및 장애인의 고용을 확대합니다. 개인8 단체1 인식개선
그림책으로 만나는 공공어린이재활병원 건립에 기여한 장애어린이가족 활동 기록 인식개선 장애 아동 가족이 참여한 공공어린이재활병원 건립 이야기를 그림책으로 제작해 장애 아동 인식개선에 관한 사회적 메시지를 제시합니다.
* 1,000권 출간
* 661개 단체 및 기관 배포
개인- 단체1
뇌전증 당사자가 직접 기획, 실행하는 뇌전증 인식개선 프로그램 인식개선 뇌전증 당사자가 직접 제작한 인식개선 교육책자를 통해 뇌전증장애에 관한 올바른 이해를 돕습니다. 개인10 단체1
내부장애인 복지프로그램 실태 및 욕구조사에 관한 연구 : 신장장애 중심으로 정책연구 내부장애인 복지프로그램 실태조사 및 연구를 실시하여 맞춤형 복지 프로그램 개발 및 확대를 통해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합니다.
*설문지 300건, FGI 14명, 델파이조사 8인 2회, 연구보고서 300부 제작
개인22 단체1 정책연구
총계 822 27 720,575,133
지정기부사업
기관·기업과의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함께 세상의 변화를 만들어 갑니다.

사업비912,538,541

개인1,119

단체223

사업명 세부 내용 사업비 개인 단체
신간도서 오디오북 제작 시각장애인의 정보, 문화 접근권 향상 및 장애인 인식개선을 목적으로 오디오북을 제작하고 배포합니다.
* 제작수량: 오디오북 113권, 그림해설 오디오북 13권, 데이지도서 120권
* 미디어접근센터(MAC), 행복을 들려주는 도서관, 성북점자도서관 소리마을, 하상시각장애인도서관 온소리 배포, 넓은 마을, DREAM 배포
사업비192,251,199 개인- 단체3
장애인, 장애인단체 자동차 정비 장애인과 장애인단체 이용자를 위해 자동차를 무상으로 점검, 정비합니다. 장애인의 안전한 이동권과 사회참여 기회의 보장을 위해, 경제적으로 어려움이 있는 장애인의 차량을 수리합니다.
* 누적 자동차 정비 540대(2013~2024)
사업비141,914,049 개인38 단체2
장애인 자동차 2차 사고 예방사업 자동차 2차 사고 예방과 교통안전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 교통안전물품을 지역사회에 전달하고 설치를 지원합니다.
* 장애인 700명, 비장애인 300명을 대상으로 교통안전물품(LED 비상경고판) 지원
사업비90,000,000 개인1,000 단체-
장애아동·청소년 예체능 교육지원 문화·예술·체육 등 예체능 분야에서 성장 가능성이 있는 장애아동·청소년을 발굴하고 체계적인 교육을 지원하여 전문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사업비83,189,078 개인65 단체10
시각장애 아동 오디오북 제작 시각장애 아동이 교육과 정보로부터 소외와 차별을 받지 않고 성장할 수 있도록 오디오북을 제작, 배포합니다. 시각장애 아동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전국 특수학교, 도서관, 온라인 사이트에 배포합니다.
* 초등학생 전용 동화·학습만화 오디오북 25권 및 데이지도서 8권 제작
* 국립서울맹학교, 미디어접근센터(MAC), 행복을 들려주는 도서관, 성북점자도서관 소리마을, DREAM 배포
사업비 59,608,760 개인- 단체6
일간지 구독지원 장애인단체 종사자 및 이용자의 정보 접근성 향상 및 사회참여 확산을 위해 1년간 일간지 구독을 지원합니다. 사업비45,732,000 개인- 단체190
장애인 주거환경개선사업 맞춤형 편의시설 및 주거환경 개보수를 통해 중증 장애인의 주거공간을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으로 개선하여 장애인 가정의 안전하고 편리한 생활을 지원합니다.
* 1가정 당 맞춤형 주거환경개선 지원
사업비41,895,000 개인16 단체10
기타지정기부사업 · 중증외상을 입은 군인의 효과적인 재활치료, 원활한 사회복귀를 위해 국군수도병원에 재활로봇(X-ble MEX) 2대를 지원합니다.
· 시각장애인 독서 접근성 강화 및 모든 사용자가 동등하게 이용할 수 있는 독서 환경 조성을 위하여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오디오북으로 제작합니다.
* 지속가능경영보고서 1부 제작
* 성북점자도서관 소리마을, DREAM 배포
· 문화‧예술 분야 장학생을 발굴하고 전문가를 통한 맞춤형 교육을 지원하여 전문 예술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사업비257,948,455 개인- 단체2
총계 912,538,541 1,119 223
긴급지원사업
재난·재해 등 위기상황으로 인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장애인을 지원합니다.

사업비16,618,440

개인7

단체7

사업명 세부 내용 사업비 개인 단체
긴급지원사업 재난·재해 등 위기상황으로 인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장애인을 지원합니다.
* 긴급 주거환경개선 지원 1명, 긴급 주거비 지원 3명, 긴급 의료비 지원 2명, 보장구 수리비용 지원 1명
사업비16,618,440 개인7 단체7
인식개선사업
장애에 대한 고정관념을 변화시키고 장애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높입니다.

사업비270,831,115

개인67

단체-

사업명 세부 내용 사업비 개인 단체
인식개선 공모전 다양한 아이디어와 표현을 담은 장애인 인식개선 콘텐츠를 생산하고 장애와 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고정관념 및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합니다.
* 공모전 수상자 43팀
사업비48,339,586 개인67 단체-
인식개선 캠페인 다양한 주제의 콘텐츠를 활용하여 장애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높여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통합된 사회를 만들어 나갑니다.
* 인식개선 콘텐츠 송출횟수 : 월간 약 120회, 연간 1,440회
사업비222,491,529 개인- 단체-
총계 270,831,115 67 -
공동모금회사업
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 함께 장애인 복지 증진을 위해 협력합니다.

사업비339,629,353

개인371

단체20

사업명 세부 내용 사업비 개인 단체
장애인 단체
윤리경영실천 지원
장애인단체 윤리경영실천 매뉴얼 개발, 교육, 지원사업을 통해 장애인단체 윤리경영 문화 확산 및 지역사회 신뢰 증진과 지속가능한 경영을 도모합니다.
* 윤리경영실천 매뉴얼 및 사례집 배포 전국 장애인단체 600여 곳
사업비247,825,864 개인367 단체20
중증외상 군인
재활지원사업
중증외상을 입은 군인 및 가족의 간병 부담을 완화하고 효과적인 재활치료, 원활한 사회복귀를 위해 생계비를 지원합니다. 사업비82,800,078 개인4 단체-
외부수탁연구 장애인복지 분야 복지기술 동향 및 개선 방안을 연구합니다. 사업비9,003,411 개인- 단체-
총계 339,629,353 371 20
학술지원사업
장애를 새롭게 바라보는 연구를 지원하고 장애 관련 해외 우수서적을 번역, 출간합니다.

사업비35,354,509

개인55

단체-

사업명 세부 내용 사업비 개인 단체
논문연구 지원 융복합적 관점으로 장애를 새롭게 바라보는 연구와 정책 아이디어를 발굴 및 지원합니다.
* 장애의 재해석 논문경진대회 10팀 선정
* 장애의 재해석 논문집 제5권 1호, 제5권 2호 발간
사업비18,708,168 개인55 단체-
해외 서적 번역출간 장애 관련 우수 서적을 번역·출간을 통해 국내 장애 분야 도서 저변을 확대하고 대중의 장애 관련 정보접근성을 제고하고자 합니다.
* 기획총서12 「장애인법과 인권에 관한 핸드북」 도서 출간 (‘24)
사업비16,646,341 개인- 단체-
총계 35,354,509 55 -
정책개발사업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 아이디어를 발굴합니다.

사업비23,458,637

개인37

단체-

사업명 세부 내용 사업비 개인 단체
정책개발사업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APP 아이디어와 개발물을 발굴합니다.
* 장애인 분야 해커톤 대회 수상자 10팀
* ‘RAS 청각자극을 통한 뇌성마비 장애인 보행패턴 개선 서비스 STEMPO’ 최우수개발물 선정 및 강서뇌성마비복지관 현장실증사업 진행
사업비23,458,637 개인37 단체-
웹진발간사업
장애인의 삶과 문화를 조명하여 장애인 인식개선을 돕습니다.

사업비10,718,782

개인-

단체-

사업명 세부 내용 사업비 개인 단체
웹진
‘세상을 여는 틈’
누구나 쉽게 공감하고 나눌 수 있는 주제를 통해 장애인의 삶과 문화를 조명하는 인식개선 콘텐츠로,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서로를 이해하는 소통의 장을 마련합니다.
* 콘텐츠 제작 건수 12건, 구독자 수 1,816명
사업비10,718,782 개인- 단체-
연수교류사업
국외 장애인 관련 이론 및 동향을 파악하고 발전 기회를 모색합니다.

사업비128,936,483

개인-

단체1

사업명 세부 내용 사업비 개인 단체
해외연수 교류 장애인 인권과 복지향상을 위해 장애인단체 활동가의 연수를 지원하여 장애 관련 선진 정책 벤치 마킹 및 국내 도입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국외연수 결과보고 및 평가회 1회 진행
* 국외연수 결과보고서 1종 발간
사업비128,936,483 개인- 단체1
역량강화교육사업
장애인단체 실무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을 진행합니다.

사업비8,498,600

개인46

단체-

사업명 세부 내용 사업비 개인 단체
역량강화교육 장애인단체의 실무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전문성을 향상하는 교육을 통해 장애인단체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돕습니다.
* 교육주제: 회계맞춤교육, 사무행정교육
사업비8,498,600 개인46 단체-
민간자격사업
자격시험 과정을 통해 장애인 인식개선강사를 양성합니다.

사업비14,629,387

개인35

단체-

사업명 세부 내용 사업비 개인 단체
장애인 인식개선
강사양성
장애인 인식개선강사 자격시험 과정을 통해 현장에서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의 질을 향상합니다.
* 신규강사 양성 35명
사업비14,629,387 개인35 단체-
연구사업
다학제 및 융복합 관점의 장애 연구를 수행합니다.

사업비105,332,870

개인-

단체-

사업명 세부 내용 사업비 개인 단체
연구사업 장애 관련 현장 이슈 중심 실증적 연구를 통해 학계 및 실천현장에서 활용가능한 학문적기초자료를 구축합니다.
* 장애인복지분야 복지기술 개발 동향 및 과제 1종 발간
* 서울형 장애인 개인예산제 모의적용 사업 보고서 발간
사업비105,332,870 개인- 단체-
서울시사업(개인예산제)
서울형 장애인 개인예산제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참여자에게 개인예산을 지원합니다.

사업비 198,259,645

개인75

단체-

사업명 세부 내용 사업비 개인 단체
서울형 장애인
개인예산제 시범사업
장애인의 개별적 욕구에 따라 직접 필요한 복지를 선택하고 이용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서울형 장애인 개인예산제 실제 운영을 점검하고, 사업의 성과·한계 고찰을 통해 본사업 추진을 위한 시범사업을 운영합니다.
* 지원기관 7곳(서울시립 장애인복지관) 참여
* 장애인 욕구 기반 개별지원계획 수립 및 작성 지원
* 개별 승인 서비스 이용 및 모니터링 실시
* 참여자 유형별 욕구분석 및 성과분석 진행
* 서울형 장애인 개인예산제 본사업 모델 수립
사업비132,470,856 개인- 단체-
서울형 장애인
개인예산제 시범사업
(시범사업 지원금)
서울형 장애인 개인예산제 시범사업 참여자가 개별적 욕구에 따라 승인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개인예산을 지원하여, 개인예산 집행 및 이용과정에서의 애로사항 점검을 통해 본사업 추진을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합니다.
* 참여자 75명 지원
* 장애인 욕구 기반 작성된 개인예산계획서를 개인예산운영위원회 승인을 통해 개별 개인예산 지원(1인 최대 240만원, 4개월간)
사업비65,788,789 개인75 단체-
총계 198,259,645 75 -
기부물품배분사업
기부물품배분을 통해 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합니다.

사업비136,470,244

개인4,339

단체13

사업명 세부 내용 사업비 개인 단체
기부물품 배분
(건강기능식품)
건강영역의 고유목적사업 수행을 위한 현물 배분
* 장애인 단체 종사자 745명, 장애인 이용자 2,255명
* 재단 관계자 93명
사업비26,847,240 개인3,093 단체13
기부물품 배분
(피부관리)
건강영역의 고유목적사업 수행을 위한 현물 배분
* 재단 관계자 22명
사업비187,528 개인22 단체-
기부물품 배분
(모발관리 및 샴푸)
건강영역의 고유목적사업 수행을 위한 현물 배분
* 재단 관계자 256명
사업비28,462,000 개인256 단체-
기부물품 배분
(안전용품)
안전영역의 고유목적사업 수행을 위한 현물 배분
* 재단 사업 참여자, 기부자, 재단 관계자 700명
사업비77,000,000 개인700 단체-
기부물품 배분
(블루투스 스피커)
사회환경의 고유목적사업 수행을 위한 현물 배분
* 장애인 가정 100가구
사업비3,221,000 개인100 단체-
기부물품 배분
(소화효소식품)
건강영역의 고유목적사업 수행을 위한 현물 배분
* 재단 관계자 168명
사업비752,476 개인168 단체-
총계 136,470,244 4,339 13
사업진행비
사업 수행을 위한 진행비

사업비46,255,594

개인-

단체-

사업명 사업비 개인 단체
사업진행비 사업진행비 사업비46,255,594 개인- 단체-

재정현황ㆍ투명성

0
장애인복지기금수익 1,000,000,000
기부금수익 1,046,694,685
사회복지공동모금회수익 341,319,570
보조금수익 54,892,001
기타사업수익 153,899,083
투자자산수익 763,591,067
전기이월금 211,927,121
0
사업수행비용 2,968,107,333
모금비용 317,160,889
일반관리비용 287,055,305

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