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부일 : 2025. 8. 22.(금) ㅣ 구독하기 |
|
|
|
뉴스 클리핑 기간 : 2025.08.14.(목)~08.20.(수) |
|
|
📌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주거전환지원법' 폐지 요구
📌 탈시설에 대한 기대와 우려
📌 탈시설 관련 주요 정책 이슈
탈시설에 대한 기대와 우려 속에서 우리나라의 탈시설 정책은 확장되기도 하고 축소되기도 하였습니다. 관련 주요 이슈로는 2021년 중앙정부의 '탈시설 로드맵' 발표, 2022년 서울시 '탈시설 조례' 시행 및 2024년 조례 폐지가 있습니다.
✅ 2021년 중앙정부의 '탈시설 로드맵' 발표
2021년 8월, 문재인 정부는 ‘탈시설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지원 로드맵’을 발표하였습니다. 해당 정책은 수용중심 정책에서 벗어나 지역사회 기반 삶을 보장하는 것을 골자로 하며, 장애인권리협약(UN CRPD) 제19조 ‘자립생활과 지역사회에서의 포용’에 따라 국가가 보장해야 할 책무를 국내 정책으로 구체화한 선언이었습니다. 본래 사업 명칭이었던 ‘탈시설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지원 시범사업’이었으나, 윤석열 정부에 의해 사업명에서 탈시설 용어가 삭제되었습니다. ‘장애인 자립지원 시범사업’은 2022년 시행되어 전국 10개 지자체에서 총 600명의 장애인을 대상으로 주거·소득·서비스·일자리·건강관리 등의 영역에서 자립을 위한 기반을 제공해 왔으며, 2025년 1월 기준 30개 지자체에서 292명이 자립생활 중입니다. 2027년 본사업을 앞두고 있습니다(미디어생활, 2025.06.05.).
✅ 2022년 서울시 '탈시설 조례' 시행 및 2024년 조례 폐지
2022년 7월 시행된 ‘서울특별시 장애인 탈시설 및 지역사회 정착지원에 관한 조례’(이하 탈시설 조례)는 장애인을 수동적인 보호의 대상에서 자율적인 인권의 주체로 인정하는 방향으로 장애인 정책의 패러다임이 전환되는 추세임을 반영하는 취지로 마련되었습니다. 조례에는 탈시설 지원 근거 마련을 위한 시장의 책무와 기본계획, 탈시설 정책 민관협의체 구성 및 운영, 탈시설 지원 사업 범위 및 예산 지원 등 내용이 담겨 있었습니다. 그러나 제정 이후 해당 조례에 대한 폐지가 요구되며 찬반 논란이 뜨거웠습니다. 폐지 요구 측에서는 서울시 탈시설 정책 즉각 철회, 정책 수립 시 시설이용 당사자 및 부모 의견 적극 반영, 장애 당사자와 부모 결정권과 선택권 보장, 신규입소 허용 등을 요구하였습니다. 반면 폐지 반대 측에서는 장애인도 지역사회에서 함께 살아야 한다며 조례 폐지안의 폐기를 촉구하였습니다. 논란 속에서 결국 시행 약 2년 만인 2024년 6월 조례가 폐지되었습니다(에이블뉴스. 2024.06.25.).
📌 일률적 탈시설은 인권 침해 우려, 맞춤 돌봄 필요
탈시설에 대한 찬반 논의가 뜨거운 가운데, 최근 국민권익위원회(이하 국민권익위)가 정부의 일률적인 탈시설 추진이 자칫 장애인의 인권을 침해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하였습니다(에이블뉴스, 2025.06.25.). 발달장애인의 장애 정도와 특성이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자립 기준을 적용하는 것은 오히려 ‘획일적 인권’이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국민권익위는 진정한 인권은 차이를 인정하고 이에 맞는 선택지를 제공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발달장애인에게도 시설에 남을 권리와 지역사회에서 살아갈 권리, 그리고 이를 스스로 선택할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며, ‘발달장애인 맞춤형 돌봄 지원체계 구축’을 핵심으로 한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해 보건복지부에 권고하였습니다. 여기에는 지원의사결정제도(Supported Decision Making)의 도입, 거점병원과 행동발달증진센터를 확대 지정, 다양한 주거모델 제안 등이 담겨 있습니다(에이블뉴스, 2025.06.25.). 탈시설 정책은 오랫동안 장애계에서 논란이 되어온 주제입니다. 찬성 측은 장애인도 선택과 존중의 권리를 누리며 지역사회에서 살아야 한다고 강조하고, 반대 측은 시설에 남을 권리도 보장되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탈시설 논의를 단일 기준으로만 판단한다면, 국민권익위의 우려와 같이 '획일적 인권'이 될 수 있습니다. 탈시설 논의는 단순히 시설을 없앨 것인가 남길 것인가의 이분법적 접근을 넘어, 다양한 장애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체계적인 지원과 선택권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
|
|
- 이아영, 김정하, 임소연, 임소라. (2023). 시설 거주 장애인의 탈시설과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다차원적 관점 기반 전환지원 모형. 한국사회복지학, 75(4), 107-144.
- 이준우, 이진영, 강이슬. (2023). 탈시설화에 관한 장애인과 거주시설 종사자의 내러티브 분석.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9(1), 57-86.
- 김동석, 이은형, 조원일. (2024). 재가 중고령 발달장애인을 둔 보호자가 인식하는 자립관:시설화와 탈시설화의 딜레마를 중심으로.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10(2), 77-106.
- 김미숙. (2024). 한국의 탈시설화 과정에서 장애인 인권 경험 연구의 질적 내용분석. 한국장애인복지학, 65(65), 45-78.
- 신준옥. (2024). 탈시설한 발달장애인의 자립생활과 거주시설 및 원가정 복귀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 65(65), 237-270.
- 이상직, 박숙경, 전근배. (2024). 장애인권리협약으로 본 장애인 탈시설 권리의 의미. 사회복지법제연구, 15(3), 25-60.
- 전근배, 이상직, 박숙경. (2024). 국제인권조약으로 본 장애인 탈시설 권리의 정당성과 정책적 함의. 민주법학, 86, 93-131.
- 손다진. (2025). 장애인 탈시설 연구 동향 분석 :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 67(67), 211-234.
|
|
|
주간장애뉴스를 받아 보고 싶으신 분은 아래의 구독하기를 클릭해주세요!
|
|
|
주간장애뉴스에 대한 의견이나 다루었으면 하는 아젠다가 있다면 클릭해주세요!
|
|
|
※ 본 내용은 한국장애인재단이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
지난 한 주간 보도된 장애인 관련 뉴스를 수집 및 정리한 것입니다.
또한 본 재단은 정치적 중립을 지키며, 특정 단체에 대한 옹호나 지지와는 무관함을 밝힙니다.
|
|
|
한국장애인재단
전화 : 02-6399-6235 / 이메일 : research@kfpd.org
(04517)서울특별시 중구 통일로 86, 207호(순화동)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