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색 아이콘1검색 아이콘2
기부하기 아이콘기부하기 지원사업

새롭고 다양한 시각의 장애 패러다임 변화 주도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Home 버튼

자료실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대안적 특수교육실천을 위한 비판적 실행연구 : 중도 ‧ 중복장애 학생의 스포츠활동(MATP)을 중심으로

2021.12.31

  • URL 복사

황상현, 정정환, 배건환ㅣ한국장애인재단ㅣ「장애의재해석」ㅣ제2권 제1호ㅣ2021.12ㅣ491-536



초록


이 연구는 의료담론에 의해 축소·은폐된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가능성을 드러내고, ‘할 수 있는 몸’ 이라는 대안담론 형성의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현장의 문제를 둘러싼 정치·경제· 사회적 영향력을 직시하고, 이를 실천적 행위를 통해 해체·재구성하기 위한 비판적 실행연구를 연구방법으로 적용하였다. 3개 학교의 교사들로 구성된 교사학습공동체와 연구진은 MATP라는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스포츠활동을 특수교육 현장에서 실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교사학습공동체 구성원 8명과 동료교사 4명, 보조인력 6명을 포함하여 총 18명으로 구성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심층면담, 포커스그룹인터뷰(FGI), 참여관찰을 실시하였고, 연구참여자의 성찰일지, 교사학습공동체 정기협의회, MATP 운영계획 및 결과보고 서류도 수합하였다. 연구자료는 모두 전사한 뒤 주제 분석(thematic analysis) 중 개별기술적(Idiographic) 6단계 주제분석의 과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학교별 MATP 운영에 대한 특성과 중도·중복장애 교육활동에 대한 연구참여자의 인식 변화 과정으로 구분하여 기술하였다. 인식 변화 과정의 범주어는 ‘풀지 못한 숙제 : 미로 같은 중도·중복장애 교수학습활동’, ‘무조건적인 긍정적 박수: 의도된 타자 중심의 교수학습활동’, ‘해체의 시작 : 인본주의 교육실천’으로 제시하였다.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타자 중심의 교육활동의 실행은 현실적으로 다수의 제한점을 가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참여자는 MATP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학급 내 권력의 이양을 통해 학생의 변화에 가시성을 부여했고, 전체 학습 목표가 아닌 개별 학생이 수행할 수 있는 목표를 수립하면 서 교수학습활동의 중심을 분산시켰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MATP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한 연구참여자들은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몸을 ‘할 수 있음’으로 인식하였고, 사회 내 중도·중복장애인에 대한 대안담론 형성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매 순간 연구참여자는 끊임없이 실행과 반성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 타자 중심의 교육 실천은 단순히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교육적 행위일 뿐만 아니라 교사 스스로를 변화시켜 이전과 다른 진실한 주체와의 만남으로 이끌었다. 중도·중복장애를 경험하는 사람은 사회적 장벽을 제거하려는 실행을 통하여 ‘할 수 있는 주체’로 거듭날 수 있다. 이는 장애 당사자뿐만 아니라 행위자에게도 유익을 준다. 사회의 불평등을 성찰하고 해소하려는 실천적 행위를 통해 현대 사회의 시민은 진실한 나, 고양된 영혼을 가진 주체와 관계를 맺게 될 것이다. 


주제어 : 비판적 실행연구, MATP(Motor Activity Training Program), 중도·중복장애, 교사학습공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