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색 아이콘1검색 아이콘2
기부하기 아이콘기부하기 지원사업

새롭고 다양한 시각의 장애 패러다임 변화 주도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Home 버튼

자료실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통합미용기술교육에 대한 뷰티종사자의 인식도조사

2021.12.31

  • URL 복사

최혜진, 차혜옥, 이두호ㅣ한국장애인재단ㅣ「장애의재해석」ㅣ제2권 제1호ㅣ2021.12ㅣ423-450



초록


본 연구는 K-뷰티의 전 세계적인 파급력에 힘입어 대한민국 뷰티인들의 가능성을 입증하기 이전에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하는 통합미용기술교육에 대한 뷰티종사자들의 요구도를 알아보고 그 실효성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미용봉사활동 경험이 있는 뷰티샵 원장, 매니저, 디자이너, 스텝을 비롯한 헤어, 피부, 메이크업, 네일아트, 반영구 화장, 두피모발관리 분야 종사자와 뷰티전공 학생, 미용직업훈련학교 교육생 등으로 장애인식, 장애수용태도, 통합미용기술교육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뷰티종사자들은 봉사활동의 경험을 통하여 장애인에 대한 인식도는 높으나 장애인을 수용하는 태도에 있어서 보통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하는 통합미용기술 교육을 계기로 장애인에 대한 공감능력과 접촉경험, 재능기부를 통한 활발한 봉사활동을 함으로써 장애수용태도를 향상 시킬 필요성이 요구된다. 또한 통합미용기술교육에 대한 요구도에 대해 대부분 ‘그렇다’에 가까운 응답을 보였는데 이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통합미용기술교육이 전문 기술이기 때문에 비장애인들이 습득하기에도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현실에 근거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아직 장애유형에 따른 뷰티 전공분야별 교육이 수준별로 체계화된 기준이 없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며 추후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교육 받을 수 있는 통합미용기술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표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장애인에게는 사회참여의 기회를 넓히고 다양한 뷰티기술교육을 통한 긍정적인 자기효능감의 향상과 사회 참여도를 높이고자 함이며 비장애인에게는 미용봉사활동을 통한 재능기부의 기회가 될 것이다. 나아가 K-뷰티와 함께하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통합교육으로 자리매김 하기를 바라며 이는 국내 뷰티 교육산업의 발전과 성장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인 장애인 복지 분야에서 모범의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어 : 장애인, 통합미용기술교육, 뷰티종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