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색 아이콘1검색 아이콘2
기부하기 아이콘기부하기 지원사업

새롭고 다양한 시각의 장애 패러다임 변화 주도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Home 버튼

자료실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지역사회 공공서비스 사각지대 개선을 위한 청년시설의 배리어프리 확산 방안

2021.12.31

  • URL 복사

양수연, 김정은, 장도희, 민재명ㅣ한국장애인재단ㅣ「장애의재해석」ㅣ제2권 제1호ㅣ2021.12ㅣ257-293



초록


본 연구에서는 ‘청년시설’을 키워드로 빅데이터 분석(big data analysis)과 이머징이슈 분석(emerging Issue Analysis), 포커스그룹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를 활용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상호관련성을 토대로 접근성, 다양성, 포용성, 지역성에 대한 클러스터가 형성되었다. 둘째 환경스캐닝을 실시하여 청년시설의 이머징 이슈로 베리어프리를 발굴하였으며 구성 요소로 사회참여, 사회통합, 사회관계망, 사회안전망을 도출하였다. 셋째, 포커스그룹인터뷰를 통해 지역사회 공공서비스 사각지대를 진단하고, 청년시설의 정책목표와 정책과제를 도출하였다. 정책목표는 지역사회 공공서비스 사각지대 개선을 위한 ‘청년 커뮤니티케어 활성화’이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과제로 청년시설의 배리어프리 재구조화, 청년활동인증제, 지속가능한 청년시설 운영방안을 제안하였다. 


주제어 : 청년시설, 배리어프리, 커뮤니티케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