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롭고 다양한 시각의 장애 패러다임 변화 주도
신준용, 최재원ㅣ한국장애인재단ㅣ「장애의재해석」ㅣ제2권 제1호ㅣ2021.12ㅣ215-255
초록
본 논문은 지적장애인을 수동적이고 무성(無性)의 존재, 또는 성에 집착하는 존재로 바라보는 사회의 편견을 고찰하고 이를 바로잡기 위해 연구를 설계하게 되었으며,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성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연구를 계획하였다. 지적장애 학생의 성과 관련된 국내 문헌 분석, 설문조사, 관련 종사자 면담 등의 연구 방법을 중심으로 ① 장애학생과 비장애 학생의 성교육 자료 분석, ② 지적장애 학생의 성교육 요구, ③ 지적장애 학생의 성 고정관념에 관한 내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게 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 학생, 비장애 학생의 성교육 자료에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지적장애 학생에게 적합한 성교육 요구(내용 및 방법)를 알 수 있었다. 셋째, 지적장애 학생에 대한 비장애인의 성 고정관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 성적 주체자로서 지적장애 학생을 바라보며, 보편적 학습설계(UDL) 이론에 근거하여 장애 학생, 비장애 학생의 경계를 두지 않는 ‘모든 학생’을 중심으로 하는 성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포함하여 다양한 연구를 통해 지적장애 학생 성교육의 진보를 기대해 본다.
주제어 : 지적장애 학생, 성 고정관념, 성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