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색 아이콘1검색 아이콘2
기부하기 아이콘기부하기 지원사업

새롭고 다양한 시각의 장애 패러다임 변화 주도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Home 버튼

자료실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역대 대통령 후보의 장애인 관련 공약 분석과 차기 후보 공약 제언 : 18, 19대 대선 주요 후보 공약자료집을 중심으로

2021.12.31

  • URL 복사

신우철, 김은총, 이종승ㅣ한국장애인재단ㅣ「장애의재해석」ㅣ제2권 제1호ㅣ2021.12ㅣ181-213



초록


한국은 1990년대 중반부터 대통령선거 담론으로 장애인 의제가 출현하였다. 선거는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치열한 공약 경쟁과 정당의 이념 경쟁을 통해 살아있는 정책으로 만드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이에 “한국의 대통령선거에서 나타나는 공약 정책 양상은 어떠한가?”라는 거시적인 주제를 두고,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던 18, 19대 대통령선거의 장애인 공약 양상을 빅데이터 분석기법의 하나인 토픽 모델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장애인’은 ‘소수자’로 일컫는 취약계층 공약 중 높은 비중을 차지함을 밝혔으며, 장애인 공약은 당선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가정할 수 있었다. 이후 전체 공약집 자료를 분석하여 상위 빈도 단어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장애인’이라는 단어는 18대에서 22위, 19대에서 39위를 차지하였다. 상대적으로 19대 선거에서 그 수치가 떨어진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짧은 검증 기간’, ‘집권 여당 심판론’ 등으로 인해 표를 획득할 수 있는 ‘절대다수를 위한 공약’에 비중을 두는 선거 전략을 전개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선거 공약집 양의 차이에 따라 토픽의 개수(K)를 달리 설정하여 구체적인 주제명을 설정하였으며 당선인의 공약과 실제 이행 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정리하여 20대 대통령선거 중 논의 될 장애인 정책 의제를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데이터를 융합한 기법인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차기 대통령 선거를 준비하는 정당이 이념을 넘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국민이 원하는 것을 구체화하여 제안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장애인 부문에서 득표를 위한 공약이 아닌 국민을 위한 실질적인 문제 해결 또는 국민의 권리를 보장하는 공약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어 : 토픽모델링, 대통령선거, 공약, 동향, 장애인 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