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색 아이콘1검색 아이콘2
기부하기 아이콘기부하기 지원사업

새롭고 다양한 시각의 장애 패러다임 변화 주도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Home 버튼

자료실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일과 여가를 바탕으로 살펴본 발달장애인의 삶 : 그들을 가두는 투명상자의 본질

2021.12.31

  • URL 복사

성소현, 김가람ㅣ한국장애인재단ㅣ「장애의재해석」ㅣ제2권 제1호ㅣ2021.12ㅣ133-180



초록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일과 여가를 통해 그들의 전체적인 삶을 조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학교 유형에 따라 그들의 사회성과 자립성이 달라지고, 그러한 특성이 취업 여부(혹은 취업 의지), 여가 향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최종적으로 삶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발달장애 근로자 대상 인터뷰와 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한 2차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발달장애인이 졸업한 학교 유형에 따라 사회성과 자립성이 달라졌으며, 실태 조사에서는 일반학교-특수학급 졸업자가 가장 높은 사회성과 자립성을 보였다. 또한 학교 유형에 따라 사회성과 자립성에 차이가 있었고, 이러한 차이를 바탕으로 일과 여가 경험이 달랐고, 이는 발달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를 설명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일과 여가의 관계를 비롯한 중요도의 차이는 개인의 가치에 따라 달라졌으며, 이는 발달장애인이 발달장애나 장애 정도에 의해서만 좌우되는 존재가 아님을 시사한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발달장애인을 사회참여나 자립으로부터 소외시키는 투명상자를 발달장애인 스스로의 제한된 경험, 보호자의 인식, 그리고 사회의 시각으로 정의하였으며, 이러한 투명상자를 부수는 것의 중요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삶이 비장애인, 신체적 장애인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밝히고, 그들의 삶을 이해하는데 초석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주제어 : 발달장애인, 일, 여가, 삶의 만족도, 학교 유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