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색 아이콘1검색 아이콘2
기부하기 아이콘기부하기 지원사업

새롭고 다양한 시각의 장애 패러다임 변화 주도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Home 버튼

자료실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중증장애인의 성적 자기결정권에 관한 법학적 고찰

2022.12.31

  • URL 복사

화지원ㅣ한국장애인재단ㅣ「장애의재해석」ㅣ제3권 제1호ㅣ2022.12ㅣ383-407



초록


장애인은 성적 자기결정권 앞에서 얼마나 주체적일 수 있는가? 법은 개인적 도덕관념이나 종교적 신념으로부터 독립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유교적 엄숙주의 등에 의해 성에 관한 담론 자체를 부정하다고 여겨 접촉하거나 말하는 것을 금지하거나 꺼리곤 했다. 이러한 경향은 일반사회뿐만 아니라, 학계에서도 살펴볼 수 있다. 장애인의 성적 자기결정권에 대하여 법학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다수의 연구가 강간과 추행의 죄의 ‘보호법익’에 관한 내용으로, 타인으로부터 법익을 침해당하지 아니한다는 소극적 의미의 관점에서 이루어졌고, 적극적 의미에서 이뤄진 소수의 연구도 그 한계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성적 자기결정권을 법학적 관점에서 검토하고, 관련된 일부 사례를 소개할 것이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해결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며, 마지막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따른 섹스로봇과 확장현실-기반 메타버스를 활용한 새로운 해결방안의 정당성과 법적 근거를 검토한다. 결론적으로, 장애인의 적극적 의미의 성적 자기결정권 보장을 위해 섹스로봇과 확장현실-기반 메타버스의 활용이 현실적이고 적절하며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 것이다. 


주제어 : 4차 산업혁명, 중증장애인, 성적 자기결정권, 법학적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