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색 아이콘1검색 아이콘2
기부하기 아이콘기부하기 지원사업

새롭고 다양한 시각의 장애 패러다임 변화 주도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Home 버튼

자료실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여성 장애인의 주체적 잘삶을 위한 평생교육 현황과 실천적 과제 고찰

2022.12.31

  • URL 복사

김도경, 한태경ㅣ한국장애인재단ㅣ「장애의재해석」ㅣ제3권 제1호ㅣ2022.12ㅣ329-351



초록


인간은 가치 있는 삶의 주체로서 자신의 욕구와 필요에 진심으로 몰두하여 개인의 잘삶을 구성하는 가치 있는 활동을 모색하고 선택하며 즐거움을 얻을 수 있는 활동을 진행할 수 있어야 한다. 그 중 특히 중장년 여성 장애인에게는 직업훈련 교육을 통한 역량 강화, 경력 단절 문제 해결, 경제활동 촉진을 위한 평생교육이 반드시 동반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이중적 차별구조에 놓여있는 중장년 여성 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해 경제활동을 촉진하고 경력 단절을 예방함으로써 주체적 잘삶 및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장애인 평생교육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장애인종합복지관의 평생교육 및 여성 장애인 교육지원 사업 프로그램 현황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보건복지부 여성장애인지원 사업안내 보고서와 존 화이트・섬너의 잘삶 이론 관련 학위 및 학술논문을 고찰하고 장애인종합복지관 현장 방문을 통해 평생교육팀 운영자와 여성 장애인 대상 심층 면접을 진행하여 장애인 평생교육 운영 현황 관련 내러티브 내용을 해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여성 장애인의 주체적 잘삶을 위한 평생교육 경험을 위해 실제 교육 운영 현장의 실천적 과제를 모색 및 제안하였다. 



주제어 : 여성 장애인, 평생교육, 주체적 잘삶, 이중차별, 교육지원사업, 장애인종합복지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