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색 아이콘1검색 아이콘2
기부하기 아이콘기부하기 지원사업

새롭고 다양한 시각의 장애 패러다임 변화 주도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Home 버튼

자료실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장애 유형에 따른 임금의 차이 분석

2022.12.31

  • URL 복사

이희라, 이재용ㅣ한국장애인재단ㅣ「장애의재해석」ㅣ제3권 제1호ㅣ2022.12ㅣ163-187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 유형에 따른 임금 차이에 대해 경제학에 기초한 이론적 논의를 진행한 후, 이를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데에 있다. 분석자료로써 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에서 수행하는 장애인고용패널조사의 2차 웨이브 6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종속변수인 임금에 대해서는 보통 최소자승법모형과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모형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보통최소자승법모형에서는 정신적 장애인의 경우 신체 외부 장애인에 비해 44.9% 적은 임금을 받았으며 타 장애 유형에 비해 현저히 적은 임금을 받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더하여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모형에서, 하위 10%에서는 정신적 장애인이 신체 외부 장애인보다 160%정도의 적은 임금을 받았으며, 상위 10%의 경우에는 무려 187%의 임금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장애 유형에 따라 임금의 차이가 존재하며, 저임금과 고임금에서는 더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장애 유형에 따른 정책의 세분화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주제어 : 장애 유형, 임금 격차, 저임금과 고임금, 보통 최소 자승법 모형,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