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롭고 다양한 시각의 장애 패러다임 변화 주도
이정민, 박영빈ㅣ한국장애인재단ㅣ「장애의재해석」ㅣ제3권 제1호ㅣ2022.12ㅣ71-97
초록
현재 장애인의 이동권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못한 실상이다. 그중에서도 장애인 콜택시 게시판 이용자들의 후기글을 워드클라우드 및 의미 연결망 분석 시각화한 결과, 장애인 콜택시 대기시간 및 배차 시스템에 대한 불편사항이 있음을 파악하였다. 해가 지날수록 콜택시 대기시간은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평균 30분을 기다려야 하며 최대 2시간 이상이다. 또한 대부분의 지역은 실제 콜택시 운영 대수가 법정 대수를 만족하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장애인 콜택시 이용자들이 어떤 부분에서 서비스의 불편함을 느끼는지, 서비스 운영 상태가 어떠한지에 대해 파악하였다. 그리고 LSTM 기반 모델을 이용해 장애인 콜택시 대기시간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구현하였다. 에포크(epochs)를 4로 설정하였을 때, MSE가 0.9955로 가장 작은 값을 보여 최종 모델로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실제 장애인 콜택시 대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더 나아가 우리 사회에서 장애인들의 삶의 질이 더욱 개선되고, 궁극적으로 이동권이 온전히 보장되길 기대한다.
주제어 : 장애인 이동권, 장애인 콜택시, 텍스트 마이닝, 대기시간 예측, LS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