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색 아이콘1검색 아이콘2
기부하기 아이콘기부하기 지원사업

새롭고 다양한 시각의 장애 패러다임 변화 주도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Home 버튼

자료실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장애인 사회서비스 분야의 복지기술 도입 현황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현장 실무자 초점집단면접조사(FGI)를 중심으로

2023.12.20

  • URL 복사

남미정, 문영임ㅣ한국장애인재단ㅣ「장애의재해석」ㅣ제4권 제1호ㅣ2023.12ㅣ349-386



초록


기술의 비약적 발달, 코로나 19 이후 사회서비스 양상 변화, 고령 인구 증가에 다른 복지수요의 양적 확대, 저출산에 기인한 경제활동인구 감소, 인구 구조 변화에 따른 재정 악화, 고령층 복지수요의 양적·질적 확대에 따른 복지수요 비용 증가 및 사회서비스 재정 부담 등의 사회환경 속에서 복지기술은 복지서비스의 혁신적 변화 및 비용 효율적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장애인 사회서비스 영역 내 성공적인 복지기술 구현 및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인복지관 중간 관리자급 이상의 종사자 5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인터뷰(FGI)를 실시하였으며, 주제분석법을 통해 총 4개의 대범주, 11개의 중범주, 28개의 소범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복지기술에 대해 종사자들은 복지기술을 더 이상 낯설지 않게 느끼고 있지만, 복지기술에 대해 긍정적, 부정적 입장이 공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장 내 복지기술의 활용과 적용을 위해 실천현장에서 다양한 시도와 노력을 하고 있지만 실무자들의 전문성 부족 및 적용 시 발생하는 애로사항 등으로 인해 복지기술을 활발하게 활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복지기술의 성공적 적용을 위해 현장 욕구가 반영된 기술과 평가체계 구축을 요구하였으며, 그와 함께 실무자와 이용자의 인식 및 역량 제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부 차원의 적정기술 개발·보급, 네트워크 및 플랫폼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내 장애인 사회서비스 영역 복지기술 도입 고도화를 위한 정책적·실천적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주제어 : 복지기술, 장애인 사회서비스, FGI 연구, 장애인 복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