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색 아이콘1검색 아이콘2
기부하기 아이콘기부하기 지원사업

새롭고 다양한 시각의 장애 패러다임 변화 주도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Home 버튼

자료실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융복합적 관점에서 본 장애인과 그 가족의 서사 고찰 : 다니엘 스틸(Danielle Steel)의 세 소설을 중심으로

2023.12.20

  • URL 복사

사공철ㅣ한국장애인재단ㅣ「장애의재해석」ㅣ제4권 제1호ㅣ2023.12ㅣ203-2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작가 다니엘 스틸(Danielle Steel)의 세 소설에 공통으로 나타나는 장애 당사자와 그 가족의 갈등과 균열 그리고 절망과 좌절이 어떻게 극복되는지와, 나아가 장애를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에 대한 서사를 고찰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분석으로 장애 또는 장애인에 대한 인식의 재해석과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뿐만 아니라, 장애인이 이제는 자신의 삶에 대한 의존의 주체에서 오로지 자신에 의해 당당히 살아가게 되는 독립의 주체로 변모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는 데 본 논문의 의의가 있었다. 본 연구는 다음의 세 작품을 해당 범위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첫 번째 소설, The House on Hope Street(2000, 296쪽)『또 하나의 사랑』(2014, 368쪽)에 나타난 장애 주인공, 제이미(Jamie)의 지적장애와 그 가족의 서사를‘동작’(Active)을 통해 극복해 가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두 번째 소설, Full Circle(1984, 447쪽)『끝없는 사랑의 여정』(2015, 상 339쪽/2016, 하 292쪽)에 나타난 장애 주인공, 타나(Tana)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그 가족의 서사를 ‘대화’(Talkative)를 통해 극복해 가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세 번째 소설, Mixed Blessings(1992, 418쪽)『사랑의 한 가운데』(2017, 상 262쪽/2017, 하 228쪽)에 나타난 장애 주인공, 다이애나(Diana)의 임신 장애와 그 가족의 서사를‘입양’(Adoptive)을 통해 극복해 가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결론적으로 장애인은 같은 또 하나의‘우리’이며 장애인의 서사는 곧 우리 삶의 서사이므로 장애에 대한 재해석의 당위성을 부여하고 장애 또는 장애인이라는 다름이 다양성이라는 이름으로 영구히 빛나는 사회, 그게 바로 우리가 실현하고자 하는 사회임을 보여주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주제어: 제이미(Jamie)의 지적장애, 동작, 타나(Tana)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대화, 다이애나(Diana)의 임신 장애, 입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