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색 아이콘1검색 아이콘2
기부하기 아이콘기부하기 지원사업

새롭고 다양한 시각의 장애 패러다임 변화 주도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Home 버튼

자료실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장애인은 외국인 장애인활동지원사의 돌봄서비스를 어떻게 경험하는가?

2023.12.20

  • URL 복사

김종숙, 임해영ㅣ한국장애인재단ㅣ「장애의재해석」ㅣ제4권 제1호ㅣ2023.12ㅣ95-128



초록


이 연구는 중증장애인에 대한 한국인 활동지원서비스 인력 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장애인 당사자가 경험하는 외국인 활동지원 인력의 돌봄서비스가 어떤 의미구조로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장애인 당사자 및 외국인 장애인활동지원사를 지원하기 위한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지체장애, 뇌병변장애인을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고, 심층 면담은 평균 2회 정도, 회당 면담 시간은 90분 내외로 진행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선택 동기’, ‘서비스 이용에 대한 주저’, ‘서비스 제공의 장점’, ‘서비스 제공의 한계’, ‘외국인 활동지원사에 대한 차별적 태도’, ‘시간 속 적응’, ‘파견기관의 적극적 개입 필요’, ‘인건비와 복리후생 강화 필요’란 8개의 상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아래와 같은 4가지 논의점을 도출

할 수 있었다. 첫째, 장애인 당사자들은 한국 문화와 정서 이해 부족에 기인한 외국인 활동지원사들의 서비스를 서비스 이용의 한계점으로 이해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장애인들은 외국인 활동지원사들이 한국 장애인의 장애 특성과 장애인 서비스 제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것을 서비스 이용의 한계로 드러내고 있다는 것이다. 셋째, 장애인들은 외국인 활동지원사들을 서비스 이용 단계에서부터 부정적 선입견을 가진 상태에서 선택하고 있다는 것이다. 넷째, 장애인들의 외국인 활동지원 서비스의 원활한 이용을 위해서는 외국인 활동지원사와 장애인 당사자간 상호 적응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 연구는 위와 같은 논의점을 토대로 제언 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 장애인, 외국인 장애인활동지원사, 돌봄서비스, 질적 사례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