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색 아이콘1검색 아이콘2
기부하기 아이콘기부하기 지원사업

새롭고 다양한 시각의 장애 패러다임 변화 주도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Home 버튼

자료실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장애아동의 놀 권리에 대한 역량적 접근 : 놀이계획에 대한 의사결정 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2023.12.20

  • URL 복사

김주옥, 이아영ㅣ한국장애인재단ㅣ「장애의재해석」ㅣ제4권 제1호ㅣ2023.12ㅣ1-36



초록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놀 권리의 선택과 기회가 충분히 보장되고 있는지 역량 접근법으로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장애아동의 부모 10인에게 개별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놀이계획에 대한 의사결정과정의 7가지 단계에 기반한 분석틀을 사용하여 연역적 주제분석(framework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의사결정의 각 단계별로 7가지 주요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는 1) 결정사항에 대한 식별: 낮은 목표치와 한정된 놀이로 인한 경험 중심의 결정, 2) 정보수집: 장애아동의 놀이에 대한 부족한 정보, 3) 대안 식별: 기존의 대안에 대한 묵살과 갈수록 협소해지는 대안, 4) 증거에 대한 검토: 상상할 수 없는 상황, 5) 대안 중에서의 선택: 협소한 부차적 대안과 상황의 유연성 부족, 6) 행동하기: 행동 대신 포기하기, 7) 결정 및 결과 검토: 낮은 목표치지만 그마저도 이루지 못한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장애아동과 부모는 놀이계획을 세울 때부터 놀이에 대한 목표치를 상당히 낮게 잡을 뿐 아니라 의사결정과정에서 매우 한정적인 선택을 하며, 행동 대신에 포기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편의제도의 개선, 다양한 장애유형에 적합한 편의시설 제공, 장애아동의 놀이에 대한 다양한 정보 제공과 사회적 인식 개선, 놀이기구 이용 제한 완화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주제어 : 장애아동, 놀이권, 역량 접근법, 의사결정, 우선 편의제도, 편의시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