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롭고 다양한 시각의 장애 패러다임 변화 주도
윤인지, 이준우ㅣ한국장애인재단ㅣ「장애의재해석」ㅣ제5권 제1호ㅣ2024.6ㅣ181-210
초록
본 연구는 한국으로 이주한 결혼 이주 농인 여성들의 한국생활 적응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결혼 이주 농인 여성들이 참여한 한국어 중심의 다문화 가족 지원교육이 어떤 영역에서 도움이 되었고 효과적이었는지 그리고 교육과정에서 어떠한 고충과 현실적인 한계들이 있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해 총 4명의 결혼 이주 농인 여성을 대상으로 면접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생활 적응단계에서의 어려움’, ‘언어와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어려움’, ‘다문화 교육 참여 현장에서 마주한 어려움’, ‘변화를 위한 제안과 바람’으로 4개의 주제와 ‘낯선 한국을 이해하기엔 부족한 지원체계’를 포함한 14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결혼 이주 농인 여성들의 한국 생활 적응을 지원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해 농문화의 특성을 고려한 여섯 가지 정책적 개선방안과 다섯 가지 실천적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주제어: 농인, 농 문화, 결혼 이주 농인 여성, 다문화 가족 지원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