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롭고 다양한 시각의 장애 패러다임 변화 주도
박영숙, 전희정ㅣ한국장애인재단ㅣ「장애의재해석」ㅣ제5권 제1호ㅣ2024.6ㅣ85-109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의 직무요구와 직무가치인식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22년 8월 4일부터 9월 14일까지 전국의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1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방법은 직무요구와 직무가치인식을 독립변수로, 직무소진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직무요구가 높을수록 정서적 탈진이 증가하며, 직무가치인식이 높을수록 비인격화와 성취감 감소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변수에서는 이용자 수가 많고, 시간외근무수당 인정시간이 적을수록 정서적 탈진이 증가하였고, 이용자 성별이 남성일 경우 정서적 탈진과 비인격화가 증가하였다. 또한 연령이 높을수록 성취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의 직무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 직무소진, 직무요구, 직무가치인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