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롭고 다양한 시각의 장애 패러다임 변화 주도
이아정, 정진자, 범효이ㅣ한국장애인재단ㅣ「장애의재해석」ㅣ제5권 제1호ㅣ2024.6ㅣ59-84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예비특수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차이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국의 예비특수교사 3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얻어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예비특수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은 ‘보통’ 이상의 긍정적인 인식 및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예비특수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통합교육 인식 및 태도의 차이에서 예비특수교사의 성별에 따른 통합교육 인식 및 태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예비특수교사는 1학년 학생이 3학년 학생보다 전체 통합교육 인식 및 태도와 하위 영역인 학업적 기대와 행동적 기대에 대한 인식 및 태도가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특수교사의 관련 과목 수강 유무에 따른 차이는 관련 과목을 수강한 학생보다 관련 과목을 수강하지 않은 학생들이 전체 통합교육 인식 및 태도와 학업적 기대와 행동적 기대 인식 및 태도가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통합교육 경험과 실습 및 봉사활동 경험이 있는 학생보다 통합교육 경험과 실습 및 봉사활동 경험이 없는 학생들이 하위 영역인 학업적 기대와 행동적 기대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서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중국 대학에서 예비특수교사를 양성할 때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을 포함하여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주제어: 예비특수교사, 통합교육, 인식 및 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