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색 아이콘1검색 아이콘2
기부하기 아이콘기부하기 지원사업

새롭고 다양한 시각의 장애 패러다임 변화 주도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Home 버튼

자료실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인문학 강좌를 통한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중심으로

2024.12.31

  • URL 복사

최금희ㅣ한국장애인재단ㅣ「장애의재해석」ㅣ제5권 제2호ㅣ2024.12ㅣ303-331



초록


본 연구는 대구시각장애인문화원의 인문학 강좌를 중심으로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사회적 상호작용 경험을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행위자 간 상호작용과 네트워크 형성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진행된 인문학 강좌 자료와 3년 이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시각장애인 및 비장애인 총 8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인터뷰는 2022년 12월부터 2023년 5월까지 진행되었으며, 참여자들은 50대에서 70대 사이의 다양한 학력과 경력을 가진 시각장애인 4명과 비장애인 4명으로 구성되었다. 분석은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ctor-Network Theory, ANT)을 적용하여 심층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프로그램 참여동기, 심리적 안정감, 사회적 관계망 형성에 대한 경험을 중심으로 주제별로 범주화하여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인문학 강좌는 인간 행위자(시각장애인, 비장애인 참여자, 강사)와 비인간 행위자(코로나19 정책, 비대면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이 경험과 가치를 공유하며 협력적 관계를 형성하고, 사회적 관계와 포용적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ANT 관점에서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통합을 유동적인 상호작용의 결과로 해석하며, 이러한 관점을 반영한 프로그램 기획의 중요성을 제안한다.


주제어: 시각장애인, 비장애인, 사회적 통합, 인문학프로그램, 행위자-네트워크 이론, 코로나19 팬데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