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색 아이콘1검색 아이콘2
기부하기 아이콘기부하기 지원사업

새롭고 다양한 시각의 장애 패러다임 변화 주도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Home 버튼

자료실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해외 주요국의 ‘접근성 매니저’ 직무 현황 분석 : 접근성 매니저 채용 공고 분석을 중심으로

2024.12.31

  • URL 복사

정종은, 최강찬, 강지섭ㅣ한국장애인재단ㅣ「장애의재해석」ㅣ제5권 제2호ㅣ2024.12ㅣ239-270



초록


2023년 12월 문화체육관광부 내에 ‘장애인문화예술과’가 설립되고, 「문화예술진흥법」 시행령 개정으로 국공립 공연장·전시장의 장애예술 관련 의무가 명시되면서 ‘접근성’ 및 ‘접근성 매니저’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0년대 후반부터 ‘접근성 매니저’라는 직함을 달고 활동하는 기획자, 연출가들이 처음 등장했고, 2020년대에 들어서는 장애인문화예술원을 필두로 극장, 박물관 등에서 ‘접근성’ 관련 공연과 전시, 교육 프로그램이 속속 도입되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접근성 매니저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진 적이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해외 주요국의 사례를 바탕으로 ‘접근성 매니저의 직무’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해서 영국, 호주, 캐나다, 미국, 프랑스, 일본 등 해외 주요국을 공간적 범위로 설정하고, 2024년 7~8월 두 달간 ‘접근성 매니저’ 채용 공고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접근성 매니저는 접근성 기획 관리자, 접근성 교육 전문가, 접근성 기술 지원 전문가라는 세 가지 직무를 중심으로 직업이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는바, 이는 향후 접근성 매니저 직무를 중심으로 한 정책 사업 추진에 유의미한 준거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접근성, 접근성 매니저, 접근성 기획 관리자, 접근성 교육 전문가, 접근성 기술 지원 전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