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롭고 다양한 시각의 장애 패러다임 변화 주도
2024.12.31
조영숙, 정진자ㅣ한국장애인재단ㅣ「장애의재해석」ㅣ제5권 제2호ㅣ2024.12ㅣ129-16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 장애인의 자기표현을 위한 미술치료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데 있으며,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에서 발행된 학위논문 31편과 학술지 4편, 총 35편을 발행 정보,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순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행 정보 (발행 연도, 발행 기관, 전공별) 분석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24년까지 꾸준한 발행 추세를 보였으며, 가장 많은 논문이 발표된 연도는 2016년과 2020년이었다. 둘째, 연구 대상 (성별, 발달 단계, 장애 등급) 분석 결과, 여성 대상자보다 남성 대상자가 많았다. 셋째. 연구방법 (구조 분석, 분석 기준, 검사 도구, 프로그램 목표분석, 매체 분류, 프로그램 분류) 분석 기준에서는 단일 집단 사전-사후 검사 설계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지적 장애인의 자기 표현력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를 진행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임상 현장에서 프로그램의 활용에 필요한 방향과 근거를 제시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지적장애, 자기표현, 미술치료, 국내 연구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