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롭고 다양한 시각의 장애 패러다임 변화 주도
전혜영ㅣ한국장애인재단ㅣ「장애의재해석」ㅣ제5권 제2호ㅣ2024.12ㅣ29-51
초록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이 평생교육을 통해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을 높이는 것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제공하는 발달장애인의 일과 삶 코호트 2023년도 조사 패널자료 중 사용한 변수에 응답한 발달장애인 4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방법은 SPSS 25.0을 통해 기술통계분석과 성향점수매칭,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향점수매칭 분석을 통해 평생교육을 경험하는 집단과 미경험 집단으로 구분하였으며, t-test를 통해 집단 간 균등성을 확보하였다. 둘째, 평생교육은 발달장애인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성향점수매칭 후의 분석에서 다른 요인보다도 더 큰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평생교육의 경험이 발달장애인의 행복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석을 통해 평생교육이 발달장애인의 자아존중감에 여타 요인보다 긍정적 효과를 준다는 것을 입증하였으며, 행복감에는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것을 파악하면서, 앞으로도 질적인 평생교육을 위해 필요한 요건을 제안하였다.
주제어: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자아존중감, 행복감, 성향점수매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