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롭고 다양한 시각의 장애 패러다임 변화 주도
신민철, 전동일ㅣ한국장애인재단ㅣ「장애의재해석」ㅣ제6권 제1호ㅣ2024.06ㅣ163-184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 직업적 능력의 변화유형을 살펴보고 각 유형을 설명하는 요인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잠재계층성장분석(Latent Class Growth Analysis)을 실시하여 변화유형에 따른 잠재계층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잠재집단의 설명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다. 연구결과, 장애인의 직업적 능력 변화유형은 중능력유지형, 저능력유지형, 저능력감소형, 고능력유지형으로 총 4가지 유형이 나타났다. 직업적 능력의 변화유형은 연령, 학력, 장애 유형, 장애 정도, 취업 여부, 직업적 훈련 경험 유무, 자기효능감에 따라 다르게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장애인의 직업적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자기효능감 향상 프로그램 적용과 직업교육훈련의 필요성을 의미한다. 또한, 직업적 능력의 수준은 유지되는 경우가 많기에 적은 나이에 개입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주제어: 잠재계층성장분석, 직업적 능력, 직업적 장애,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자기효능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