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색 아이콘1검색 아이콘2
기부하기 아이콘기부하기 지원사업

새롭고 다양한 시각의 장애 패러다임 변화 주도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Home 버튼

자료실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호주 라 트로브 교육모형을 활용한 지원의사결정 교육의 효과와 향후 과제

2025.06.30

  • URL 복사

이동석, 도여옥, 김강원ㅣ한국장애인재단ㅣ「장애의재해석」ㅣ제6권 제1호ㅣ2024.06ㅣ25-51



초록


본 연구는 의사결정 지원을 실천하기 위한 교육모형이 없는 상황에서 호주에서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개발된 라 트로브 교육모형을 소개하고 이를 직접 교육해 본 후 이 교육모형이 우리 현실에서 효과적인지, 또 우리 실정에 맞게 개선할 방안은 무엇인지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6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교육을 하고 초점집단인터뷰, 서면 인터뷰, 성찰기록노트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식전환을 이룬 지원의사결정 교육, 효과적인 교육 방법, 실천 적용에의 한계, 성공적인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조건과 같은 4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결국 라 트로브 교육모형을 활용한 지원의사결정 교육은 내용과 방법 측면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을 통해 후견인들은 피후견인을 독립적 의사결정 주체로 인식하는 전환을 경험했으며, 소규모 그룹 교육과 사례 활용이 참여도와 이해도를 높였다고 확인되었으며,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체계적인 지원 가능성을 확인했다. 하지만 현장에서 바로 적용하기에는 부족함도 있었다. 의사소통 능력이 부족한 피후견인의 욕구 파악 방법의 한계가 존재했고, 실습 중심 교육과 다양한 사례 학습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교육 이외에도 지원자의 역량 강화, 피후견인에 대한 긍정적 시각, 그리고 사회적 지원 확대 등과 같은 조건이 성공적인 지원의사결정 실천을 위해서는 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의사소통 능력이 제한적인 피후견인들에 대한 의사결정 지원을 위해서 다양한 전문가와 관련인들의 역할이 필요하고, 후견인 교육 프로그램을 실용적인 방향으로 개선하고, 한국형 지원의사결정 모델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주제어: 지원의사결정, 호주 라 트로브 교육모형, 교육 효과, 성년후견제도, 권익옹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