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색 아이콘1검색 아이콘2
기부하기 아이콘기부하기 지원사업

새롭고 다양한 시각의 장애 패러다임 변화 주도

연구·출판

연구·출판

기획총서 9 장애와 소셜 미디어 : 글로벌 관점

2021.01.15

  • URL 복사

기획총서 9 장애와 소셜 미디어 : 글로벌 관점

발간사

역자 서문

1. 서론 l 사회적 장애

PART1 옹호

2. 소셜 미디어와 청각장애인의 역량강화 l 폴란드 청각장애인 커뮤니티의 표현을 위한 온라인 투쟁 3. #107일 캠페인에 대한 개인적 성찰 l 변혁적인가, 전복적인가, 우발적인가? 4. 정상성 확인하기 l 감동 포르노'와 장애인 대상화 5. 베딩 아웃 l 예술, 행동주의 그리고 트위터

PART 2 접근

6. 접근성 있는 소셜 미디어의 중요성 확대 7. 트랑스뽀르 메자다쁘떼 l 몬트리올 온라인 장애운동 탐색 8. 상호작용 포함하기 l 행동주의 및 역량강화를 위한 도구 디자인 9. 새로운 미디어와 접근성 있는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l 미국 기반의 메타 분석

PART 3 커뮤니케이션

10. 디지털 시대 의사소통장애를 가진 개인들의 소셜 미디어 활용과 매개된 사회적 교류 11. #사회적대화 l 마블사 데어데블 속의 장애 재현과 화면해설 12. 연결된 사회 공간에서 취약성과 상호의존성 이해하기 13. 소셜 미디어와 장애의 포용 l 짐바브웨 활동가의 비판적 고찰

PART 4 교육

14. e-러닝의 기회, 소셜 미디어 그리고 장애 15. 미디어가 만드는 경험의 현상학 l 장애학과 웨어러블 카메라 16. 접근(불)가능한 소셜 미디어로서의 블랙보드 l 교육, 가르침 그리고 학습의 업데이트 17. '언어차별주의'에 도전하는 '방법을 말고 있는'난독증 장매인

PART 5 커뮤니티

18. '나와 말이 통하는' l 애슬리트퍼스트 프로젝트 및 가상 장애인 스포츠 커뮤니티에서 블로그 사용하기 19. 자폐증을 게시하다 l 플랑드르 블로그 티스트제의 온라인 자기표현 전략 '자폐스펙트럼을 전면에서 마주하며 사는 것' 20. 인식에서 포용으로 l 일본의 소셜 미디어와 시민단체를 활용하여 장애인 커뮤니티 연계하기

PART 6 새로운 방향

21. 보완대체의사소통 및 소셜 미디어 사용자를 위한 자기표현 22. 장애, 소셜 미디어 그리고 종교적 담론: 아라비아의 사례 23.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여 중국 장애인의 사회권 향상하기 l 베이징 원 플러스 원 장애인문화개발센터

기획총서 9 장애와 소셜 미디어 : 글로벌 관점

도서소개

소셜 미디어의 활용이 장애인의 사회통합과 사회적 권리 증진에 미치는 영향력을 각국의 다양한 활용 사례와 폭넓은 관점으로 소개한 서적

엮은이

Katie Ellis

옮긴이

김수정, 마경희, 이승기

발행일

2021년 1월 15일

정가

25,000원

구매문의

연구기획팀 ㅣ 02-6399-6235 ㅣ research@kfpd.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