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색 아이콘1검색 아이콘2
기부하기 아이콘기부하기 지원사업

새롭고 다양한 시각의 장애 패러다임 변화 주도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Home 버튼

자료실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비장애대학생의 장애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비장애대학생의 장애인 직접접촉 수준에 따른 비교

2025.06.30

  • URL 복사

이교일, 김지온, 하은호, 김은빈ㅣ한국장애인재단ㅣ「장애의재해석」ㅣ제6권 제1호ㅣ2024.06ㅣ163-184



초록


이 연구는 Allport(1954)의 접촉이론을 이론적 틀로 활용하여, 비장애대학생의 장애인 직접접촉 수준에 따라 SNS 간접접촉, 사회적 거리감, 장애수용태도 간의 관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비장애대학생을 대상으로 2025년 3월 20일부터 3월 28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338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한 후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비장애대학생의 장애인 직접접촉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사회적 거리감이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 직접접촉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는 SNS 간접접촉과 사회적 거리감이 장애수용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장애인 접촉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사회적 거리감이 장애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SNS 간접접촉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 연구는 Allport(1954)의 접촉이론을 토대로 비장애대학생의 직접접촉 및 SNS 간접접촉의 상호작용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장애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집단 간 차원에서 밝힌 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비장애대학생과 장애인 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방안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비장애대학생, 접촉이론, 장애수용태도, SNS 간접접촉, 직접접촉, 사회적 거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