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색 아이콘1검색 아이콘2
기부하기 아이콘기부하기 지원사업

새롭고 다양한 시각의 장애 패러다임 변화 주도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Home 버튼

자료실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학술지 「장애의 재해석」

‘접근성 매니저’의 직무 모형 분석 : 문헌분석, 설문조사 및 FGI를 통한 도출과 검증

2025.06.30

  • URL 복사

최보경, 최보연, 정종은ㅣ한국장애인재단ㅣ「장애의재해석」ㅣ제6권 제1호ㅣ2024.06ㅣ105-135



초록


본 연구는 문화예술 현장에서 장애인의 접근성을 실현하기 위한 전문 인력으로서 ‘접근성 매니저’의 직무를 체계적으로 정의하고 구조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접근성 매니저’는 아직 제도적 기준이나 명확한 역할 규정이 부재한 신생 직업으로, 본 연구는 문헌분석, 설문 조사,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합적으로 활용하여 직무 모형을 도출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먼저 국내외 사례를 기반으로 문헌분석을 수행하여 접근성 매니저의 직무를 ‘접근성 기획 관리’, ‘접근성 교육’, ‘접근성 기술지원’으로 분류하였으며 이를 중심으로 총 14개의 책무(duty)와 111개의 작업(task)을 도출하였다. 이후 접근성 매니지먼트 실천 경험이 있는 국내 활동가 및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FGI를 실시하여 직무 정의 및 책무와 작업 분류의 타당성을 점검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국내 실정에 부합하는 접근성 매니저 직무기술서(job description)를 제안하였으며, 이는 향후 교육과정 개발, 정책 수립 등에 있어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장애인 접근성, 접근성 매니저, 접근성 매니저 직무, 접근성 매니저 책무, 접근성 매니저 업무